본문 바로가기
읽어볼만한 스토리

석유가 고갈될 수 없는 이유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3. 12. 12.

'석유 고갈'은 기술 발전 무시한 엉터리 주장

우리는 어릴 때부터 에너지를 아껴쓰자.. 석유는 없어진다고 배웠다.

기술의 발전으로 모래에서도 석유를 뽑을 수 있다.

이제 고갈론 이건 다 뻥이다.

 

 

오랫동안 인류는 석유가 고갈된 미래를 상상하며 공포에 떨었다. 우리나라 교과서에도 실렸던 “30년이면 석유가 고갈된다”는 문장을 기억하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30년 뒤면 석유 고갈”이란 말은 인류가 석유를 채굴하기 시작한 한 세기 전부터 거의 매해 나왔던 얘기다. 그러니까 ‘30년’이란 숫자는 약 100년 전부터 끊임없이 갱신돼온 셈이다. 어째서 이런 이상한 일이 가능했던 걸까?

 

‘30년 뒤면 고갈?’ 풉

마르지 않는 석유의 기적이 가능했던 건 시장 가격의 힘, 다시 말해 시장의 힘이라고 할 수 있다. 석유 생산량은 결국 얼마나 많은 유전이 발견됐느냐에 달려 있다. 유전 탐사엔 막대한 돈이 들어가기에 석유의 시장가, 즉 유가가 낮으면 새 유전을 탐사하기 어렵다. 이 말을 다시 쓰면 유가 수준이 탐사되는 유전의 규모를 결정하고 미래의 석유 생산량을 결정한다는 얘기다. 지난 100년간 석유의 잔존 기간이 신기하게도 항상 30년을 유지해온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시장이 판단할 때 석유의 적정 탐사량은 향후 30년을 쓸 정도라고 여겼던 것이다. 지난 세기 석유 탐사량이 유전 규모에만 달려 있었다면 이젠 기술의 진보도 석유의 추정 탐사량을 늘리는 데 한몫하고 있다. 채굴 기술이 진보하면서 과거엔 몰랐던 유전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발견되고 나서도 경제성이 없어 그냥 뒀던 유전들을 개발하고 있다.


그간 암석 속에서 석유를 뽑아내는 데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셰일 안의 석유는 그림의 떡일 뿐이었다. 그러던게 고압의 물을 분사해 돌을 부수고 그 안의 석유를 뽑아내는, 그다지 비싸지 않은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채굴 기술과 셰일 에너지

더구나 셰일처럼 기존 기술로는 자원이 아니었던 것까지 개발 대상에 포함되기 시작했다. 기존 석유 추출 기술로는 셰일은 좀 심하게 말하면 탄소가 많은 돌에 불과했다. 그러던 게 이젠 노다지가 된 셈이다. 셰일오일이 다른 기술 중에서도 특히 주목받는 건 당장 석유의 추정 탐사량을 수백 년 이상으로 늘려놨기 때문이다. 이제 교과서에 “30년 뒤면 석유 고갈” 문구는 더는 실을 수 없게 됐다.

 

당연하지만 채굴 기술이 진보한 것도 시장의 힘에 따른 것이다. 시장이 더 싼 에너지를 향한 인간의 욕망과 창조성을 촉발했다. 중동 산유국들이 고유가를 즐기던 지난 시절 미국 에너지 기업들은 더 싸게 석유를 얻을 수 있는 기술에 거액을 투자했다. 시장의 힘이 기업을 움직여 지금의 셰일 에너지 혁명을 불러온 것이다.

 

셰일은 진흙이 쌓여 굳어진 퇴적암의 일종이다. 조개껍데기를 의미하는 독일어 ‘schale’에서 유래했다. 고운 흙으로 구성된 퇴적암답게 화석이 많이 보존돼 있는 암석이기도 하다. 석유가 나오는 지층은 셰일 암반층 밑에 분포하는 경우가 많다. 그 말은 셰일층에도 어느 정도 석유가 포함돼 있다는 얘기다. 다만 그간 암석 속에서 석유를 뽑아내는 데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셰일 안의 석유는 그림의 떡일 뿐이었다. 그러던 게 고압의 물을 분사해 돌을 부수고 그 안의 석유를 뽑아내는, 그다지 비싸지 않은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석유 기업들이 셰일 신기술에 접근하고 있을 무렵 세계 각국 정부와 환경단체들은 친환경 대체에너지란 구호에 홀려 헛되이 세금을 낭비하고 있었다. 세계의 많은 나라들이 깨끗한 대체에너지를 찾기 위해 이런저런 시도를 많이 했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어서 서해안 곳곳에 파도를 이용한 조력발전소를, 강원도 산골엔 바람을 이용한 풍력발전소를 만들었다. 농촌의 볕 잘 드는 곳엔 태양열 장치를 한 시설을 곧잘 볼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의 시장 흐름은 이른바 대체에너지가 종래의 화석에너지에 의해 역으로 대체당할 상황이다. 이들 대체에너지는 기존의 석탄, 석유는 고사하고 추가 작업이 필요한 셰일보다도 생산 비용이 많이 든다. 경제성 대신 환경보호라는 정치적 구호를 이유로 개발을 시작했으니 실패는 시작부터 예견된 일이었다.

 

 

경제성이 에너지를 결정

인류의 미래 에너지원으로 석탄, 석유와 같은 전통적인 에너지가 옳을까? 아니면 바람, 파도, 태양과 대체에너지가 옳을까? 물론 여기에 정답은 없다. 어쩌면 먼 미래의 언젠가 인류에게 새로운 에너지가 필요한 시점이 올지도 모른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건 그걸 결정하는 주체는 정부나 환경단체가 아니라 기업과 시장일 것이라는 점이다.

 

석유 시추과정 근접촬영 (희귀자료)

 

 

셰일방식과 더불어 실제로 채굴이 너무 잘되는 석유

환경음모론이나 자원사업 때문에 그동안 숨겨지고 이용되던 고갈론

전기차의 명분을 무색하게 만드는 엄청난 채굴량.

하지만, 전기차가 많아질수록 석유는 쓸모가 없어진다.

그래서 사우디는 관광사업을 시작한 것.

 

석유가 고갈될 수 없는 이유

 

공룡의 화석이 썩어 변한 검은 물 석유, 석유를 이용해 인류는 많은 발전을 이뤘습니다. 그리고 지금 석유는 인간과 떼어 놓을 수 없는 자원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귀에 못이 박히게 들은 말이 있습니다. 곧 석유의 고갈이 다가오고 새로운 자원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석유는 정말 고갈될까요?

 

 

 

아닙니다. 오히려 과거보다 석유를 찾고 캐는 기술이 발전해 과거에는 채굴할 수 없었던 기름들을 캘 수 있어 오히려 과거보다 매장량이 늘어나는 중이라고 합니다.

 

 

 

와중에 또 중동에서 큰 유전을 찾았다니... 다음 생에는 중동 석유국에서 태어나고 싶습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석유 곧 없어진다더니 공룡이 어디서 몰래 자꾸 죽냐?" "전기차 필요한 거 맞아?"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임혜동의 공갈과 뽀록 (김하성 협박사건)

"임혜동은 왜 공갈을 던졌나?" 임혜동은 뭘 믿고 깔롱 된 걸까? 전청조와 비슷한 사람은 세상에 많다. 디스패치를 통해 임혜동의 모든 공갈이 다 까발려졌다. 김하성, 협박 사건의 전말 디스패치

news.memebro.kr

 

밀양 '집단 성폭행 사건'의 모습들

밀양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밀양연합 사건) 2004년에 경상남도 밀양시에서 발생한 집단 성폭행 사건. 영원히 박제되어 영원히 기억되어야 하며 기록되어야 하는 사건 중에 하나다. 밀양 지역

news.memebro.kr

 

홋카이도 연안 물고기 떼죽음

일본 홋카이도 연안에 집단 폐사한 물고기 최근 일본 홋카이도 연안에 집단 폐사한 물고기 떼가 떠밀려와 화제인데 일본의 물고기 떼죽음 소식에 중국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함 폐사한 물

news.memebro.kr

반응형
※쿠팡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